일자 : 2024년 11월 29일(금)
기준금리 인하와 주식 시장 반응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2024년 11월 28일 기준금리를 연 3.25%에서 연 3.00%로 인하했습니다. 이번 인하는 지난 10월에 이어 두 번째로, 경제 둔화 위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됩니다. 그러나 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주식 시장의 반응은 업종별로 엇갈렸습니다.
바이오 업종, 금리 인하로 수혜 기대
금리 인하로 자금 조달이 용이해지는 바이오 업종은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전일 대비 4.93% 상승하며 100만 원대를 회복했고, 셀트리온 역시 4.84% 올랐습니다. 이는 바이오 업종이 신약 개발과 같은 고비용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자금을 대규모로 필요로 하기 때문입니다. 금리 인하로 자금 조달 비용이 줄어들면서 기업의 장기 성장 가능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특히 2024년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0.1%에 그친 상황에서, 바이오 업종은 경기 둔화 속에서도 주목받는 분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반도체 및 증권주, 금리 인하에도 약세
반면, 반도체 업종은 금리 인하에도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각각 1.42%, 4.28% 하락하며 코스피 지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관세 정책에 따른 불확실성과 미국 수출 악화 우려 때문입니다. 증권주 역시 금리 인하의 전통적 수혜 업종으로 꼽히지만, 경기 둔화 우려로 인해 상승 동력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는 국내 경제 성장률 전망치 하향 조정과 위험자산 선호 심리 위축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금리 인상이 바이오 업종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바이오 업종은 금리가 상승할 경우 기업가치가 하락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신약 개발과 같은 미래 지향적 매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금리가 높아지면 미래 수익을 현재 가치로 환산하는 할인율이 상승해 기업가치가 줄어듭니다. 예를 들어, 할인율이 1% 증가할 때 바이오텍 기업가치는 평균적으로 약 15%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높은 연구개발 비용과 긴 개발 기간이 요구되는 바이오 업종의 특성 때문입니다.
금리 인하에도 하락하는 바이오 종목들
2024년 11월 29일, 금리 인하의 수혜를 기대했던 바이오 업종 중 일부는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알테오젠은 7.44% 급락했으며, 리가켐바이오와 셀트리온제약도 각각 3.92%, 2.92% 하락했습니다. 이는 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국내 경기 둔화 우려가 더 큰 영향을 미친 결과입니다. 전문가들은 금리 인하가 내수 및 경기 하방 압력을 완화하려는 목적이지만, 투자 심리가 위축된 상황에서 즉각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분석했습니다.
바이오 업종의 장기적 가능성
바이오 업종은 금리 하락이 지속될 경우 다시 상승세를 탈 가능성이 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3분기 누적 매출액이 처음으로 3조 원을 돌파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고, 연간 매출 4조 원 돌파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또한, 국민연금이 제약·바이오 종목의 보유 비율을 확대하는 등 장기적 관점에서 바이오 업종의 성장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결론
금리 인하 조치는 경기 둔화 위험에 대응하기 위한 한국은행의 선제적 조치로 해석됩니다. 그러나 업종별로 반응이 상이했으며, 바이오 업종은 금리 인하의 대표적인 수혜 업종으로 상승세를 보였지만 일부 종목은 경기 둔화 우려로 하락세를 면치 못했습니다. 반도체 및 증권주는 금리 인하의 효과보다는 경기 침체 우려가 더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장기적으로는 금리 하락이 지속될 경우 바이오 업종의 반등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연구개발 역량이 뛰어난 기업들이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용어정리1
상방 압력과 하방 압력
상방 압력은 경제 지표가 상승할 가능성을 높이는 긍정적 요인이고, 하방 압력은 하락 가능성을 높이는 부정적 요인
Q1. 상방 압력이란 무엇인가요?
상방 압력은 경제 지표나 시장 상황이 상승할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을 의미합니다. 주로 긍정적인 외부 요인, 정책 변화, 또는 수요 증가로 인해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금리 인하는 민간소비와 투자를 활성화해 경제 성장률을 끌어올리는 상방 압력이 될 수 있습니다.
Q2. 하방 압력은 무엇인가요?
하방 압력은 경제 지표나 시장 상황이 하락할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을 뜻합니다. 부정적인 외부 요인, 정책 실패, 또는 수요 감소 등이 원인이 됩니다. 예를 들어, 글로벌 통상 환경 악화는 수출 감소를 유발하여 경제 성장률에 하방 압력을 가할 수 있습니다.
Q3. 상방 압력과 하방 압력은 어떻게 비교되나요?
상방 압력은 경제 성장이나 지표의 상승 요인을 의미하고, 하방 압력은 경제 위축이나 지표 하락 요인을 의미합니다.
즉, 상방 압력은 긍정적, 하방 압력은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Q4. 상방 압력의 예시를 몇 가지 들어주세요.
- 금리 인하: 금리가 낮아지면 가계와 기업의 대출 부담이 줄어 소비와 투자가 증가할 가능성이 큽니다.
- 예: 한국은행이 금리를 0.5%포인트 인하하면, 민간소비가 늘어 GDP 성장률에 상방 압력을 줍니다.
- 국제유가 하락: 원유 도입단가가 낮아지면 물류비와 생산비용이 줄어 기업의 수익성이 개선됩니다.
- 예: 두바이유가 배럴당 80달러에서 74달러로 하락하면, 제조업 수출 증가에 상방 압력이 생깁니다.
- 반도체 경기 호조: 반도체 수요 증가로 기업의 수익성이 높아지면서 투자 확대와 고용 창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예: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거래액이 증가하면서 한국의 설비투자율이 상승합니다.
Q5. 하방 압력의 예시를 몇 가지 들어주세요.
- 글로벌 통상 환경 악화: 미국의 보호무역 강화로 수출이 줄어들면 경제 성장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 예: 트럼프 정부의 통상 정책 변화로 세계 교역량이 위축되면 한국 수출 증가율이 둔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중국 경제 둔화: 중국의 부동산 시장 침체로 수입 수요가 줄어들면 한국의 대중국 수출이 감소합니다.
- 예: 중국의 GDP 성장률이 3%로 하락하면 반도체 수출이 감소하며 하방 압력을 가합니다.
- 건설 수주 감소: 누적된 건설 수주 감소로 건설 투자가 줄어들면 경제 성장률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 예: 2024년 건설투자 감소율 -1.8%에 이어 2025년에도 0.7%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어 하방 압력이 지속됩니다.
Q6. 상방 압력과 하방 압력은 어떻게 경제에 영향을 미치나요?
상방 압력과 하방 압력은 경제 성장률, 물가 상승률, 고용률 등 주요 지표에 영향을 미칩니다.
- 상방 압력: 민간소비와 투자를 촉진하여 경제 성장률과 고용률을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 하방 압력: 수출 감소나 투자 위축으로 경제 성장이 둔화되고 고용이 축소되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Q7. 2025년 한국 경제에서 상방 압력과 하방 압력의 주요 요인은 무엇인가요?
① 상방 압력 요인
- 금리 인하: 시장금리 하락으로 민간소비와 설비투자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반도체 경기 회복: 반도체 수요 증가로 설비투자가 확대되고 수출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교역조건 개선: 수입가격 대비 수출가격이 개선되면서 경상수지 흑자폭이 확대될 전망입니다.
② 하방 압력 요인
- 글로벌 통상 환경 불확실성: 미국 통상 정책 변화와 무역 분쟁으로 수출 증가세가 둔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 건설 수주 감소: 건설투자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내수 개선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 중국 경기 침체: 중국의 부동산 경기 하락으로 대중국 수출 감소 가능성이 있습니다.
Q8. 상방 압력과 하방 압력을 동시에 고려한 정책 방향은 무엇인가요?
- 통화정책: 기준금리를 점진적으로 인하하여 민간소비와 투자를 활성화하면서도 금융 안정성을 강화해야 합니다.
- 재정정책: 경기 부양을 위해 필수적인 지출은 유지하되, 장기적인 재정건전성을 고려해 효율적인 지출 구조를 설계해야 합니다.
- 경제 구조개혁: 혁신적 신생기업의 시장 진입을 촉진하고 경제의 유연성을 높여 잠재성장률을 끌어올려야 합니다.
Q9. 경제 상황이 복잡할 때 상방 압력과 하방 압력은 어떻게 해석해야 하나요?
상방 압력과 하방 압력은 경제 전망의 불확실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 상방 압력이 우세하면 긍정적인 정책 효과가 예상되며, 경제 성장률이 높아질 가능성이 큽니다.
- 하방 압력이 우세하면 부정적인 외부 요인을 해결하기 위한 대응책이 필요합니다.
Q10. 개인이 이해하기 쉬운 상방 압력과 하방 압력의 비유를 들어주세요.
- 상방 압력: 비 온 뒤에 해가 나면서 무지개가 뜨는 상황입니다. 비는 멈췄고 긍정적인 일이 생길 가능성이 크죠.
- 하방 압력: 바람이 점점 강해지면서 비구름이 몰려오는 상황입니다. 곧 비가 올 가능성이 높아 대비해야 합니다.
이처럼 상방 압력은 희망적 신호, 하방 압력은 위험 신호로 이해하면 좋습니다.
'경제 뉴스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타랠리란 무엇인가요? (3) | 2024.12.01 |
---|---|
고정금리와 변동금리의 선택 고민이 깊어지는 이유 (0) | 2024.11.30 |
노후 아파트 탈출 꿈, ‘분담금 폭탄’ 현실 (1) | 2024.11.28 |
롯데케미칼, 롯데월드타워 담보로 유동성 위기 극복 나서 (3) | 2024.11.27 |
현대차증권, 2000억 원 규모 유상증자 결정 (2) | 2024.11.26 |